재무제표로 살펴본 로보틱스 기업 순위 및 기술적 강점
로봇이 바꾸는 산업지도, 한국 로보틱스 기업의 현주소는?
바퀴가 달린 서빙로봇부터 사람과 같이 두 다리로 걷는 로봇, 그리고 강아지 모양을 한 반려 로봇까지!
우리의 삶에 로봇은 이제 상상과 영화 소재를 넘어 하나의 일상이자 급격히 발전하며 우리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영역이 되었습니다.

로봇 산업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물류창고, 병원, 제조라인, 그리고 우리의 집 안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활약하고 있죠. 그렇다면,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는 국내 로보틱스 기업들의 현주소는 어떨까요?
2024년 기준으로 국내 로보틱스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 등을 확인하며, 기업별 강점과 트렌드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 매출 및 이익 비교 (최근 회계연도 기준)
기업명 | 매출 (억 원) | 영업이익 (억 원) | 당기순이익 (억 원) | 기준 연도 |
---|---|---|---|---|
레인보우로보틱스 | 771.9 | 70.5 | 63.1 | 2024년 |
유진로봇 | 346.6 | 18.4 | 28.8 | 2024년 |
트위니 | 117.9 | -78.3 | -103.1 | 2023년 |
비로보틱스 | 106.7 | -10.2 | -14.6 | 2024년 |
한화로보틱스 | 85.2 | -6.8 | -5.9 | 2024년 |
브이디컴퍼니 | 77.6 | -25.0 | -22.9 | 2024년 |

1. 요즘 가장 핫한 로보틱스 기업, 삼성의 픽! 레인보우 로보틱스
최근 매출 규모와 함께 삼성 투자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으로 레인보우 로보틱스가 가장 눈에 띕니다. 기술 특례 상장 후 4년만에 시총 1300% 넘게 급등하며 로보틱스 비즈니스의 장미빛 미래를 보여주고 있답니다.
국내 최초 인간형 이족 보행 로봇을 개발하고, 사람 팔 모양의 협동 로봇, 서빙 로봇 등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는 레인보우 로보틱스는 삼성의 자회사로 편입되어 미래 로봇 개발을 위한 협력 관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할 예정으로 보입니다.

최근 출시한 이동형 양팔로봇 RB-Y1 이 출시 1년 만에 약 80여대를 납품했다라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어, 같은 로보틱스 기업으로 부러움과 함께 동기 부여가 함께 되는 것 같습니다.
(RB-Y1의 이동형 양팔로봇 가격 – 연구용 폼 9천만 원, 상업용 1억 3천만 원)

2. 국내 1세대 로봇 기업, 유진로봇
1988년 설립된 자율주행 물류 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인 유진로봇은, 폴라리스쓰리디와 같이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물류 로봇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유진로봇은 적재 하중에 따라 스탠다드 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산업 환경에 따른 커스텀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최근 연세암병원 등 국내 주요 의료기관에 납품하면서 병원 물류 자동화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진로봇 강점”
고카트는 자체 개발 ‘3D ToF(Time of Flight) LiDAR’ 센서를 탑재한다.
기존 무인운반차(AGV)가 요구하는 자기 테이프, QR 코드 등 외부 인식 표시 없이도 장애물 회피와 정확한 목적지 도달을 지원한다.
폴라리스쓰리디 역시 연세암병원에 엘리베이터 호출 및 이동이 가능한 배송 로봇을 납품하며, 영역 확장에 힘쓰고 있는데요. 곧 롤테이너 타입의 AMR 역시 연세암병원에서 활약할 예정입니다.


유진로봇은 최근 ‘AI 팩토리 전문기업‘으로도 선정 🎉 이 되었는데요.
새로운 정부의 로봇 산업 강화 정책에 따라 폴라리스쓰리디도 함께 성장할 수 있을거라 기대됩니다.

3. 트위니 로봇
나르고 오더피킹은 물류센터에서 작업자의 단순 이동 업무를 줄여주는 오더피킹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① 효율적인 물류센터 운영
② 생산성 향상
③ 운영 비용 절감
이라는 3가지 키워드를 해결하는 트위니의 나르고 AMR은 최근 컬리 평택센터에 자율주행 로봇 기반 물류창고 자동화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답니다.

트위니 나르고 AMR은 대규모 물류 환경에서 근로자가 카트나 대차를 이용해 주문품을 일일이 찾아 다니는 반복 업무를 줄여주고 있으며, 새벽배송 대행 사업으로 알려진 팀프레시와 함께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고객사인 팀프레시의 위기와 지속된 마이너스 영업 이익은 어려운 업계를 대변해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무인화 및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늘어나는 관심에 따라 트위니도 다양한 기회와 함께 발돋움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4. 베어로보틱스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는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을 개발·제조하는 로보틱스 기업으로, 레스토랑·카페·호텔·병원·공항 등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사람과 협업하며 물류/서비스를 수행하는 AMR(Autonomous Mobile Robot)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서빙로봇 서비(Servi +)로 익숙한 기업입니다.
본사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20개국 이상에서 로봇을 운영 중입니다.

베어로보틱스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Carti 100이 2025년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부문 로보틱스 분야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는데요. 서빙로봇 Servi Plus의 수상에 이어 또 한번 수상을 했는데요. 서빙로봇과 물류로봇 역시 디자인적으로도 강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로보틱스 기업이 주목해야하는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콘텐츠에서도 강조했던 ‘디자인’ 영역에도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LG전자는 최근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30% 추가 취득해 로보틱스 부문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요. 서빙로봇 클로이(CLOi)를 넘어 상업용 로봇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하며, 올 하반기에는 AI 홈로봇 ‘Q9’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더욱 기대가 됩니다.
베어로보틱스 특징 및 경쟁력 사항
구분 | 강점 내용 |
---|---|
사용자 친화성 | 비전문가도 쉽게 다룰 수 있는 직관적 UI 및 로봇 도킹 방식 |
유연한 운용성 | 실내 환경에 따라 다층 구조나 복잡 동선에도 적응 |
운영 효율성 | 자동 리포팅 시스템, 통계 기반 경로 최적화 |
기술력 | 자체 AMR 기술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최적화 (Linux RTOS, 센서퓨전 등) |

5. ‘스마트한 세상을 움직이는 로봇 기술의 리더’ 한화 로보틱스
한화로보틱스(Hanwha Robotics)는 한화그룹의 첨단 제조·스마트팩토리·서비스 로봇 부문을 담당하는 핵심 계열사로 협동 로봇, 서비스 로봇,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부문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한화 로보틱스 협동 로봇은 사람과 같은 작업 공간을 공유하며, 작업 공간과 공정 및 시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습니다. Hanwha Collaborative Robots : HCR 이라고 부르는 협동 로봇을 기본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답니다.

폴라리스쓰리디 역시 소형 AMR을 통해 기존 작업 공간과 설비의 변경없이 사람과 함께 협동하여 효율성을 증대 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AMR 역시 협동 로봇으로 다양한 공장 및 설비 영역에서 활약할 수 있습니다.
한화로보틱스 대표 제품 : HCR 시리즈
모델명 | 가반하중 | 작업반경 | 적용 사례 |
---|---|---|---|
HCR-3 | 3kg | 630mm | 정밀 조립, 검사 |
HCR-5 | 5kg | 915mm | 픽앤플레이스, 나사 체결 |
HCR-12 | 12kg | 1300mm | 중량 핸들링, 박스 적재 |

폴라리스쓰리디의 로봇 구동부(Mobility Module)는 70cm 좁은 구역을 이동할 수 있는 강점으로, 산업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 장착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최근 구동부에 매니퓰레이터를 장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휴머노이드 로봇 발 대신 바퀴 달린 구동부를 장착하는 사례도 많아 졌습니다.
산업 현장에서는 두 발 달린 로봇보다 안정성 등 장점이 많은 바퀴 형태의 구동부 장착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기회가 된다면 한화 로보틱스의 HCR과 폴라리스쓰리디의 자율 주행 구동부와의 연결을 통한 새로운 협동 로봇을 런칭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한화로보틱스는 지난 6월 독일에서 열린 오토매티카 2025 등 다양한 전시회에 참여하며 글로벌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전시회 기간에는 용접 작업에 최적화된 협동로봇인 ‘HCR-5W’와 하나의 제어기로 2대의 협동로봇을 동시에 조작하는 멀티로봇,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등을 소개했다고 합니다.
최근 확대되어 가고 있는 유럽 자동화 공정 시장에서 어떤 활약을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하겠습니다.
한화 로보틱스의 4가지 경쟁력
구분 | 강점 내용 |
---|---|
기술력 | 자체 제어기 및 핵심 로봇 기술 내재화 |
신뢰성 | 한화그룹의 자본력과 글로벌 제조 네트워크 |
유연성 | 협동로봇 + 비전 + 자동화 솔루션까지 통합 제공 |
확장성 | 서비스 로봇 및 글로벌 파트너십 기반 성장 잠재력 |
이렇게 재무제표에 따른 로보틱스 기업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재무제표에 보이는 숫자도 중요하지만, 각 로봇 기업들이 강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는데요. 진짜 경쟁력은 숫자 뒤에 숨은 기술 내재화와 장기적인 비전에 있는 듯 합니다.
단기 실적이 부족하더라도, 로보틱스 기업이 가진 기술이 어떤 미래를 보여줄지 기대해보는 것도 로보틱스 업계를 바라보는 체크 포인트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폴라리스쓰리디 역시 2025년에 더 좋은 숫자 뿐만 아니라 기술력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